
안녕하세요! 독일에서 집을 구하는 방법 시리즈를 진행하려고 해요
교환학생의 경우 대부분 기숙사가 있지만, 제가 가는 브레멘 호흐슐레의 경우 기숙사가 없어서 학교에서 제공해 준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집을 구해야 한답니다.
저는 지금 한국에서 독일에서 살 집을 구하고 있어요
독일에서 직접 방문하고 집을 구하는 것이 아닌만큼 걱정도 되고 의심도 많이 된답니다.
'검색만이 답이다!'하고 열심히 찾으며 알게된 정보들을 정리해서 설명드릴게요:)
독일에서 집 구하기가 힘들고, 복잡한 절차인 만큼 차례대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오늘은 '독일의 거주 형태와 방식'입니다.
"악명 높은 독일 집구하기 "
독일이 워낙 집 구하기 악명 높다고 해요
독일은 임차인 (즉, 집을 빌려주는 집주인)의 권리가 강한 편이에요
(물론 한국도 임차인의 권리를 당당하게 주장하는 편이랍니다.)
임차인을 보호가 강함과 동시에 독일의 주택시장 가격의 과열로 독일 내에서 자신의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드물다고 해요. 따라서 수요는 많은데 공급이 부족한 실상이랍니다. 주택 가격도 비싼 편이에요
집을 구하면서 놀랐던 사실 중 하나는 독일에서는 실제 집주인이 아니라, 그 집에서 살고 있는 임대인도 집을 내놓을 수 있다고 해요. 즉 집주인의 허락이 담긴 계약을 통해 자신의 룸메이트와 플랫메이트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집을 구할 때, "내가 집주인이다."라고 말하더라도 실제 집주인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는 거죠.
의심 많은 한국인인 저에게 있어 집을 구할 때 가장 많이 경계를 한 부분이었는데요
독일의 경우 집주인이 따로 있는 집에서 방을 내놓거나, 플랫 메이트를 구하며 함께 비싼 월세를 부담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독일의 입주 형태 "
1. 단기 vs 장기
단기 _ "쯔비쉔" : 최대 3개월 정도까지 머물 수 있는 단기 거주지를 의미합니다. 집주인 혹은 임대인이 여행, 출장 등의 사유로 짧게 집을 비우게 되었을 때 머무는 방식이라고 해요. 일반적으로 거실과 침실로 구성 된 아파트를 의미하며, 주택관리비와 같은 추가적인 비용을 제외하고 순수한 주거 공간을 의미한답니다. 주로 1인이나 부부가 거주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아파트를 의미합니다.
장점 : 복잡한 서류 절차 없이 바로 집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 쯔비쉔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단점 : 하지만, 단기이기 때문에 바로 다음 집을 구해야 하며, 안멜둥(거주지 등록)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에요. 독일은 다른 지역에서 이사를 오거나, 입국을 할 경우 2주 안에 안멜둥(거주지 등록)을 마쳐야지만 벌금과 같은 불이익을 당하지 않는답니다.
장기_ 1. "WG(Wohngenmeinschaft)" : 독일어로 "공동 주거"를 의미하는 WG는 두 명 이상의 사람이 함께 생활하는 주거 형태예요. 교환학생을 가거나 유학, 일하러 간 분들이 주로 이용하는 주거 형태를 의미해요. 그 이유는 대학생이나 저소득층의 젊은 이들이 경제적 이익과 사회적 관계 형성의 목적으로 선택하는 주거 형태이기 때문이에요.
WG에는 개인 객실과 공용 공간(주방, 욕실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입주자들은 일반적으로 공용 공간의 비용을 공동으로 부담하며, 각자의 개인 객실에 대한 비용을 부담한답니다.
*WG로 집을 구할 때에는 기존에 살고 있던 사람들이 면접을 보거나, 화상을 통해 만나본다고 하고 있으니 줌을 본다고 하더라도 놀라지 마세요!
장기_ 2. "나흐미터(Nachmieter) " : 독일어로 "이사 후 입주자"를 의미합니다. 주로 아파트나 집을 빈번하게 이사하는 사람들이 새로운 주거 공간을 찾을 때 사용됩니다. 나흐미터의 경우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계약 조건을 준수하는 한에 허용되며, 주로 임차인이 일찍 이사를 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임차인은 잔여 임대 기간 동안 추가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새로운 임차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제가 이번에 구했던 방법도 WG를 통한 방법이었어요.
다음 글에서는 독일 집 구하는 사이트와 커뮤니니, 계약서 작성 방식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다음에도 더욱 유익한 글로 찾아올게요!

'세계여행 > 독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독 후 첫번째로 해야할 독일 알디톡 개통하는 방법(+로밍도깨비) (15) | 2024.03.18 |
---|---|
독일 여행 기본 상식(문화 & 대중교통 편) (15) | 2024.02.26 |
독일로 떠나는 분들을 위한 독일 비자 종류 (35) | 2024.01.29 |
독일 여행 정보의 모든 것 (독일 날씨편) (1) | 2024.01.26 |
교환학생을 독일로 가야하는 이유 (2) | 2024.01.22 |